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과학정보

MTT assay

by SOOnDAck 2023. 2. 19.
728x90
반응형

이번에 포스팅에서는 MTT assa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TT assay는 cell viability를 측정하는 실험으로 세포실험을 하게 되면 흔히 하게 되는 실험 중에 하나입니다.

 

MTT assay 원리

 
원리는 MTT시약이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reductase에 의해 환원되면서 보라색을 띠는 formazan crystal을 생성하는 을 이용한 것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formazane crystal을 DMSO에 녹여 흡광도로 값을 측정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비율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실험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MTT assay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TT 실험

 

MTT 실험 전 준비사항

 
1. Cell seeding 된 96 well plate

 

2. Free media, PBS를 37℃ water bath에 데우기
 

MTT 실험 과정

 
1. 96 well plate의 serum media를 suction 한다.

 

2. PBS 100ul로 washing 후 suction 한다.

 

3. Drug solution(free media + drug) 100ul를 각 well에 넣어준다.

 

4. 이후에 incubator에 원하는 시간(24h,48h 등) incubation 한다.

 

5. Drug solution을 suction 한다.

 

6. PBS 100ul로 washing 후 suction 한다.

 

7. Serum media 100ul를 넣어준다.

 

8. MTT solution(5mg/ml, 4℃보관)을 각 well당 20ul씩 넣는다.

 

9. 1시간 30분 incubatior에 incubation 한다.

 

10. MTT solution과 serum media를 suction 한다.
 * Formazan crystal이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서 suction 한다.
 *이 과정에서 RSD 값이 많이 흔들릴 수 있다.

 

11. DMSO 100ul를 넣고 잘 반응하도록 파이펫팅해준다.

 

12. Microplate reader기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흡광도 값: 컨트롤 약 0.8)
 

MTT 흡광도 측정

 

이상 MTT assay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MTT assay는 실험과정은 어려운 것이 없지만 실험자의 손을 많이 타는 실험이기 때문에 편차가 크게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각자만의 실험 스킬을 키워 항상 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