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도시험은 약물의 제형연구 단계에서 많이 하게 되는 시험이다.
밀도를 정확하게 알아야지만 함량, 제제균일성 등 약물을 분석할 때 정확한 결과 값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밀도시험법에 대해 알기 전에 밀도와 비중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 뜻하며 단위는 'g/ml'이다.
밀도를 무게에 나누어주면 부피로 단위가 변경되고, 부피에 밀도를 곱해주면 무게로 단위를 변경시킬 수 있어 밀도는 쓰임새가 많은 단위이다.
비중은 '어떤 물질의 밀도에 표준물질의 밀도를 나누어준 값'으로 상대밀도라고도 한다.
표준물질은 보통 물을 사용하며, 물의 밀도가 1이기 때문에 항상 밀도와 비중은 같은 값을 가진다.
단, 밀도와의 차이점은 비중은 밀도에 밀도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단위가 없다.
그럼 이제 밀도시험법에 대해 알아보자.


밀도시험법
비중병을 사용하여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비중병을 사용하여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비중을 무게의 비로 알아낸 후 구해낸 비중을 이용하여 밀도를 계산해 내는 형식이다.
밀도시험 실험방법
1. 비중병을 깨끗한 상태로 세척한다.
2. 비중병의 무게를 잰다.
3. 비중병에 기포를 완전히 제거한 채로 검체를 담는다. (기포 제거가 어려울 시에는 원심분리를 이용한다)
4. 온도계를 비중병에 꽂고 흘러나오는 액체는 말끔히 닦아준다.
5. 항온수조에 비중병을 넣고 25℃에 도달하면 수조에서 꺼내 물기를 닦는다.
6. 검체가 담긴 비중병의 무게를 잰다.
7. 검체를 담았던 비중병에 검체 대신 정제수를 넣고 같은 방법으로 비중병의 무게를 측정한다.
8. 측정한 무게를 가지고 비중을 계산한다.
- 비중계산식
비중(d) = {검체를 넣어 측정한 비중병의 무게 - 비중병의 무게} / {정제수를 넣어 측정한 비중병의 무게 - 비중병의 무게}
9. 구한 비중을 가지고 밀도를 계산한다.
- 밀도계산식
밀도(p) = 비중(d) X 0.99704g/ml (25℃에서 물의 밀도)
*반복 횟수를 최소 3회 가진다.
밀도시험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비중병을 이용한 밀도시험법은 비중과 밀도의 개념만 잘 알고 있다면 사용하기에 너무 쉬운 방법이다.
매우 간단하고 보편화되어 있는 방법이니 꼭 알아두도록 하자.
'정보공유 > 과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기영동(Electrophoresis) 원리와 방법 ⚡️ (0) | 2024.01.23 |
---|---|
국제공통기술문서(CTD, Common Technical Documents) (1) | 2024.01.23 |
ppm(parts per million) 분석팀 필수 단위 (0) | 2024.01.05 |
🌟 히알루론산 필러🌟 모노페이직(Monophasic) vs 바이페이직(Biphasic) (1) | 2024.01.04 |
[약리학] 약물의 투여경로 (0) | 2024.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