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과학정보

ppm(parts per million) 분석팀 필수 단위

by SOOnDAck 2024. 1. 5.
728x90
반응형

과학분야에서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ppm이라는 단위를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특히 제약회사나 화학회사라면 무조건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pm 단위에 대해 포스팅을 하고자 한다.

제약회사를 준비하는 지원자라면 ppm단위를 필수적으로 알아야 한다.

몇몇 사람들은 속으로 'ppm단위 몰라도 상관없는데?'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착각이다.

제약회사에서는 여러 팀들과 의견을 나누며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때 분석팀으로부터 ppm이라는 단어를 들을 확률이 높다.

분석팀은 분석을 위해 물질을 과량희석하는 것이 보통이라 ppm 단위와 매우 친하고 대부분의 단위를 ppm으로 말하기 때문이다.

나도 분석팀으로부터 ppm 단위를 들은 후, ppm이라는 단위에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했다.

그럼 ppm 단위의 중요성은 이쯤 하고 한번 알아보자.


ppm 단위


ppm이란?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약자이다.

해석을 하면 알 수 있듯이 '백만분의 일'을 나타낸다.

그래서 1ppm의 농도는 0.0001% 라고 나타낼 수 있다.


ppm 단위와 익숙해지는 방법?


백만분의 일이라는 뜻은 알지만 바로 단위를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힘들 것이다.

그래서 " 1% = 10,000ppm "이라는 것을 꼭 기억하자.

1% 내외의 단위는 대부분 많이 사용하는 농도이므로 1% = 10,000ppm이라는 것만 알고 있으면 ppm 농도를 즉시 계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ppm에 대해 알아보았다.

추가로 ppb라는 단위도 있으니 기억해 두자. (ppb = Part(s) Per Billion)

많이 희석하게 되는 경우 사용하기 편한 단어이니 알아두는 것이 여러모로 좋을 것이다.

그럼 모두 잘 숙지해서 분석팀과의 소통에서 어려움이 없길 바란다^^

이미지 출처: https://blog.mensor.com/blog/meaning-of-ppm-and-ppb

728x90
반응형

댓글